앞서의 글에서 "네이버, 구글, MS 모두 도메인 이메일 서비스"가 모두 몇 년 사이에 유료화 되었거나, 서비스 자체가 사라졌다고 적었다. 이제는 다음(daum) 하나 남았고, 결국 이 글은 "다음(daum) 도메인 메일 서비스를 이용 하기"가 될 것이다.
도메인을 다음(daum)에 연결해서 이메일 서비스 만들기
내 도메인 이름은 내 성과 결혼한 연도를 따서, HAN2005.COM으로 지었다. 마지막까지 .COM으로 할 지, .NET으로 할지 고민했는데, 보다 만만한 .COM으로 결정했다.
도메인은 www.dotname.co.kr에서 구매했다. 난 이 회사와 상관 없다. 다른 곳에서 더 싸게 도메인을 구매할 수 있지만, 가격도 크게 차이 나지 않고 기존에 가지고 있는 도메인도 여기서 구매했기에 그냥 구매했다. 대부분의 도메인 판매 업체에서는 다음(daum) 도메인 메일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다음(daum) 도메인 메일에서는 가비아(www.www.gabia.com)와 후이즈(www.whois.co.kr)를 디폴트로 소개하고 있다. 저렴하거나, 편리한 회사를 찾아서 도메인을 구매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거창한 제목과는 다르게 메일을 구입 했으면 일은 거의 끝난 것이다. 도메인을 구매한 업체에서 도메인 관리 메뉴를 확인해 보면 "MX 설정" 혹은 도메인 네임 서버 설정, 혹은 DNS 설정 메뉴, 혹은 메일 서버 메뉴가 있을 것이다. 물론 해당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곳도 있으며, 잘 모르겠다면 다음(daum) 도메인 메일 서비스에 링크되어 있는 가비아나 후이즈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아래는 내가 구입한 닷네임에서 제공하는 메뉴 화면이다.
외부 서비스를 다음(daum) 도메인 메일로 설정한다. 그러면 끝~ 아주 쉽죠?
이제 다음(daum) 쪽에서도 설정을 해 주어야 한다. 어렵지 않다. 우리 나라 포털 사이트는 꽤 친절하다. 다음(daum)의 안내글만 읽어도 문제 없이 할 수 있다. ( 링크 : http://mail2.daum.net/hanmailex/event/smart_popup.html ) 메일 서비스 좌측 메뉴 제일 하단의 Daum 스마트워크라는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개인(혹은 상황에 따라 친목/단체 등)을 선택하면 아래의 화면이 나온다. 여기서 도메인을 입력하고, 기본 정보를 넣으면 세팅은 끝이다. 어렵지 않다.
아래와 같이 생성되었다.
이제 아이들 이메일을 추가해야 한다. 여기서 아이들 숫자만큼 카카오 계정이 필요하다. 아주 어린 아이들이라면 카카오톡을 사용하지 않겠지만, 이메일을 사용할 나이라면 대부분 카카오 계정에 가입되어 있으리라 본다. (없으면 아이들 숫자만큼 카카오다음에서 이메일 계정을 생성해야 한다.) 네이버 혹은 아무 이메일로나 초대장을 보내고, 초대장 링크를 통해 카카오다음에 카카오 계정을 이용해 로그인을 하면 된다. 사실 정확하게 말하면, 카카오 계정을 이용해서 카카오다음의 아이디를 생성하는 것이다. 고로, 아이들 용으로 생성된 카카오톡 계정 혹은 다음(daum) 계정은 꼭 있어야 한다. (나 같은 경우, 아이들 카카오톡 계정과 부모님 카카오톡 계정을 내 명의의 지메일을 통해 만들었다.)
위의 화면에서 회원 초대를 통해 이메일을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초대장이 날아간다. 아래 초대장의 링크를 클릭하고, 다음(daum)에 로그인을 하면 해당 계정의 이메일이 생성된다.
다음(daum)의 이메일 계정만 있으면 최대 500명 까지 도메인 이메일을 생성할 수 있다. 실제 500명 인원을 관리하기에는 관리 기능이 부실한 편이기에, 큰 조직에서 사용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렇지만 적당한 규모의 회사나 단체에서 사용하기엔 부족하지 않을 것이다. 특히나 개인이 사용하기엔, 현재로서는 유일한 서비스 이기에, 아예 불만이 없다. 그저 카카오 그룹에서 해당 서비스를 오래 오래 사용할 수 있게 해주었으면 하는 바람만이 있다. 적어 놓고 보니, 꽤 비굴하다. ㅋㅋ
'완료된 프로젝트 > 이메일@개인도메인 for kid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메인을 구매하고, 서비스 업체를 고르자. (0) | 2017.03.27 |
---|